Differently synonym的問題,透過圖書和論文來找解法和答案更準確安心。 我們找到下列懶人包和總整理

另外網站Taiwanese Mandarin - Wikipedia也說明:This is one of the few words where both characters are pronounced differently in Taiwan and the Mainland. 和 'and', hàn, hé, hé, The hàn pronunciation only ...

國立臺灣師範大學 英語學系 詹曉蕙、齊莉莎所指導 理克的 語言、大腦與時間的相遇:漢語的觀點 (2021),提出Differently synonym關鍵因素是什麼,來自於漢語、構詞句法學、時間觀念、時貌、神經語言學、事件相關電位、類型神經語言學。

而第二篇論文中國文化大學 韓國語文學系 金善孝所指導 宋善玉的 AB-BA型韓語雙音節漢字類義語硏究 (2021),提出因為有 的重點而找出了 Differently synonym的解答。

最後網站Wordtune | Your thoughts, in words.則補充:Powered by deep AI technology, Wordtune helps you rephrase your sentences to say exactly what you mean through clear, compelling, and authentic writing.

接下來讓我們看這些論文和書籍都說些什麼吧:

除了Differently synonym,大家也想知道這些:

語言、大腦與時間的相遇:漢語的觀點

為了解決Differently synonym的問題,作者理克 這樣論述:

時間被視為人類認知中至關重要的概念,時間標記則因語言而異。不過,大腦處理時間標記仍然不清楚。現今絕大多數的相關研究皆是針對印歐語系語言中的「時態」(tense)標記。本論文將要探討漢語中的「了」及「過」兩個「時貌」(grammatical aspect)標記和過去時間的關係,以及大腦如何處理「了」及「過」之時間標記。首先,本論文針對漢語中存在已久的「了」及「過」是否具有「時態」成分之辯論提供反證,並且主張「了」及「過」被用於表示過去時間是因為其時貌特徵。本論文將兩者時貌特徵與表示過去時間的關係分析成對應到不同語法的意義、功能:「了」對應到「時間先後關係」的認知功能,而「過」對應到「時間定位」

的認知功能。接著,本論文透過三個採用事件相關電位(event-related potential,稱ERP)技術的實驗測試/探討以上的分析。相關結果顯現了兩種質變上不同的效果進而支持上述分析:「了」在時間標記上的大腦處理誘發前腦及早期之負極性波幅(early frontal negativity),而「過」則是誘發晚期之正極性波幅(P600),此外,「了」及「過」在時間標記上的大腦處理方式與「了」及「過」在時貌上(非時間上)不同。最後,為使以上兩種大腦處理方式有廣義的且跨語言的功能解釋,本論文將漢語的時貌標記在時間上的大腦處理與印歐語系的時態標記在時間上的大腦處理方式做相互對比:前腦及早期之負

極性波幅(early frontal negativity)被視為反映「時間先後關係」的認知功能,晚期之正極性波幅(P600) 被視為反映「時間定位」的認知功能。總而言之,本論文採用以上分析及證據提供大腦如何處理時間標記之類型神經語言學模式。

AB-BA型韓語雙音節漢字類義語硏究

為了解決Differently synonym的問題,作者宋善玉 這樣論述:

본 연구는 AB-BA형 2음절 한자어 중 유의어 관계에 있는 두 단어의 유의성와 변별 의미를 연구하는 데 목적으로 둔다. 유의어 관계에 있는 AB-BA형 2음절 한자란 ‘관련(關聯)- 연관(聯關)’, ‘거주(居住)-주거(住居)’ 등과 같이 2음절로 구성된 한자어가 순서를 바꾸어 나타나는 단어를 말한다. 유의어 관계이며 높은 빈도수로 쓰이는 AB-BA형 2음절 한자어 쌍은 한국어 학습자 특히 같은 한자 문화권의 학습자는 모국어의 한자와 한국어의 한자어를 연결시켜 습득하는데, 실제 의미 차이로 인해 사용 영역 상에서 달리 쓰임에 따

라 혼란을 일으킨다. 한국어 모어 화자도 유의어의 의미 차이를 언어 직관에 의해 이해할 수 있고 사용하지만 명시적 구별이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우선 기존 연구에서 AB-BA형 2음절 한자어 중에 실제 언어 생활에서 양쪽 모두 쓰이는 유의쌍을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2」 (김한샘, 2005)에서 검색하여 빈도수가 1회 이상인 단어를 선정하였고, 다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4단계) 어휘, 문법 등급 목록」(김중섭 외, 2017)을 비교하여 검색되는 단어 쌍 총 7쌍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단어 쌍은 ‘관련-연관’, ‘거주-주거’, ‘도중-중도’, ‘금방-방금’, ‘관습-습관’, ‘대접-접대’, ‘열정-정열’이다.이들 7쌍의 유의어 변별 방법으로 사전을 통해서는 뜻풀이, 유의어 비교, 교체 검증을 연구하였고 말뭉치 자료를 이용해서 사용 빈도, 공기어 정보, 단어 형성 양상을 분석하였다본 연구는 한자 문화권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유의어 관계인 AB-BA형 2음절 의미를 변별하고 맥락에 맞는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여 정확한 표현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한국어 학습자들과 한국어 교사들을 위한 유의어 변

별 자료 제공이 지속적으로 이루지기를 기대한다.